산구루|국토종주 자전거길 가이드
  • 홈
  • 종주 공통
    • 자전거길 종주 인증에 대하여
    • 국토종주 거리 계산기
    • 자전거길 종주 데이터
    • 인사 말씀
    • 처음 오신 분
    • 블로그 이용법
    • 닫기
  • 국토종주
    • 한강 구간
      • 아라
      • 한강(서울)
      • 남한강
    • 새재
    • 낙동강 구간
      • 낙동강 중류
      • 낙동강 하류
    • 닫기
  • 4대강종주
    • 한강종주
      • 한강(서울)
      • 남한강종주
    • 낙동강종주
      • 낙동강 상류(안동)
      • 낙동강 중류
      • 낙동강 하류
    • 금강종주
    • 영산강종주
    • 닫기
  • 나머지 종주
    • 동해안종주
    • 제주환상종주
    • 섬진강종주
    • 북한강종주
    • 오천종주
    • 닫기
  • 지리산
    • 지리산둘레길3(인월-금계)
    • 지리산둘레길11(하동호-삼화실)
    • 닫기
  • 로그인
  • 내정보
    • 등록(블로그 가입)
    • 프로필 보기/수정
    • 비밀번호 찾기
    • 닫기
  • 검색
    • 닫기

여수항▷제주항 카페리 출발시간이 심야로 변경되었습니다.

2018년 10월 13일 | {산구루}작성 | 1 Comment |

2018년10월1일부터 여수엑스포신항  카페리 출발 시간이 심야시간대(01:40)로 변경되었습니다. 여수엑스포역까지 KTX가 운행되고 역과 엑스포신항이 인접하여 환승이 쉽습니다. 여수종합버스터미널도 엑스포신항과 4.3Km 거리에 있으므로 버스에서 여객선으로 환승하기도 비교적 좋은 편입니다. 제주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오후(16:50)에 출발하여 저녁(22:10)에 여수엑스포 여객터미널에 도착하면 KTX 연결편은 없고, 심야(24:00)에 서울행 고속버스 한 편이 있습니다. ■여수엑스포신항 ▷ 제주항(월~토) 여수(01:40)  → 제주(07:30) ■제주항 ▷ 여수엑스포신항 (일~금) 제주(16:50)  → [...]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자전거

거리 계산기 정상 작동합니다.

2018년 8월 9일 | {산구루}작성 | Leave a Comment |

시스템상의 문제로 서비스가 중단되었던 거리 계산기가 오늘부터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재개하였습니다. 그동안 불편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자전거

[아두이노010] OLED 한글 사용하기

2018년 2월 22일 | {산구루}작성 | 2 Comments |

이글은 2018.2.22에 있었던 오프라인 강의 노트입니다. OLED 모듈 연결하기 OLED 모듈 연결하기 I2C를 지원하는 모듈이 연결이 용이합니다. 아두이노 우노의 경우 A4에 SDA, A5에 SCL을 연결하면 됩니다. I2C모듈은 같은 핀을 공유하므로 모듈마다 구분하기 위한 어드레스가 정해져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몇 개의 어드레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한 모듈도 있습니다. ▲모두 닫기  |  {끝:OLED 모듈 연결하기} OLED 사용하기 OLED [...]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사물인터넷, 아두이노, 아두이노강좌, 정보기술

[아두이노009] 앱 인벤터 2 이용하여 아두이노와 안드로이드 연결하기

2018년 2월 9일 | {산구루}작성 | Leave a Comment |

블루투스 앱인벤터 디자이너ㅓ이글은 2018.2.8에 있었던 오프라인 강의 노트입니다. 블루투스 모듈 연결하기 블루투스 모듈 연결하기 블루투스 모듈은 보통 4개의 핀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듈의 RX는 아두이노의 TX에, TX는 RX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참고로 I2C 연결의 경우에는 SDA핀은 SDA끼리, SCL은 SCL끼리 연결하면 됩니다. 블루투스 모듈이 다른 기기와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IDE에서 스케치를 업로드할 때 통신 오류가 생깁니다. 따라서 반드시 [...]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사물인터넷, 아두이노, 아두이노강좌, 정보기술

[아두이노008] 온습도,미세먼지 센서 사용법

2018년 2월 1일 | {산구루}작성 | Leave a Comment |

dht22이글은 2018.2.1에 있었던 오프라인 강의 노트입니다. 미세 먼지 센서 미세 먼지 센서 ▲모두 닫기  |  {끝:미세 먼지 센서} 온습도 센서(DHT22) 온습도 센서(DHT22) ▲모두 닫기  |  {끝:온습도 센서(DHT22)} 미세 먼지 센서/온습도 센서 읽는 스케치 미세 먼지 센서/온습도 센서 읽는 스케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http://www.electroschematics.com/wp-content/uploads/2015/02/DHT.rar
#include "DHT.h"
#define DHT_PIN  6 //A4//6     // what pin we're connected to
#define DHTTYPE DHT22   // DHT 22  (AM2302)
DHT dht(DHT_PIN, DHTTYPE);
 
#define LATCH_PIN 4
#define CLK_PIN 7
#define DATA_PIN 8
#define BUZZER_PIN 3
#include <TimerOne.h>
#include <SanguruSegment.h>
SanguruSegment segment;
#include <SanguruButton.h>
SanguruButton btn0(A1);
SanguruButton btn1(A2);
SanguruButton btn2(A3);
// btnx.getButton()값
#define ON_RELEASED 1
#define ON_PRESSED 2
#define RELEASED 4
#define PRESSED 8
#define REPEAT 16
#define LONG_PRESSED 32
#define NO_OF_MENU 4
#define MENU_MAIN 0
#define MENU_SWITCH 1
#define MENU_COUNT_DOWN 2
#define MENU_TIME 3
// 숫자가 변경된 후 이 시간 이내에는 깜빡거리지 않는다
#define NO_BLINK_MIL 1000
char *menuTitle[NO_OF_MENU] = {"main","swch","cntd","time"};
byte thisMenu = 0;
// 메인메뉴 타이틀 표시하기 위하여(thisMenu != prevMenu) 0이 아니라 -1로 지정
byte prevMenu = -1;
byte menuVal,upVal,downVal;
 
#define DUST_PWR_PIN 9
#define DUST_PIN A5
 
unsigned long thisMil;
unsigned long nextSecMil;
unsigned long thisSec;
int loopCnt;
 
// variables for dust senser
int samplingMicroSec = 280;
int deltaMicroSec = 40;
int sleepMicroSec = 9680;
float dustVal = 0;
float smoothDustVal = 0.8;
float calcVoltage;
float dustDensity = 0;
 
// variables for DHT22
float temperature;
float humidity;
 
// time
int hh,mm,ss;
 
class Time {
  public:
  Time();
  void getTime (int *HH, int *MM, int *SS);
  private:
  long timeDiffrenceMil;
};
 
Time::Time() {
}
 
void Time::getTime(int *HH, int *MM, int *SS) {
  long timeMil = millis() % 86400000;
  long tempVal;
 
  tempVal = timeMil / 1000; // time sec
  *HH = tempVal / 3600;
  *MM = tempVal / 60;
  *SS = tempVal % 60;
}
 
Time t;
void setup() {
  // 값은 250~1000 사이가 적당함
  int intervalMicroSec = 1000;
  Timer1.initialize(intervalMicroSec);
  // 백그라운드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할 ISR을 지정한다.
  // ISR에는 세그먼트와 버튼 등의 update()메쏘드를 지정하면 된다.
  Timer1.attachInterrupt(ISRupdate);
  // 숫자 표시가 역순이면 LOW와 HIGH를 서로 바꾸면 된다  
  byte digitStartFrom = LOW;
  segment.init(LATCH_PIN,CLK_PIN,DATA_PIN,digitStartFrom,intervalMicroSec);
  // setLongPress(true)와 setRepeat(true)는 둘중 하나만 지정이 유효함
  btn0.setLongPress(true);  // menu
  btn1.setRepeat(true);   // up
  btn2.setRepeat(true);   // down
  
  pinMode(BUZZER_PIN,OUTPUT);
  // PNP트란지스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LOW일 때 전류가 흘러 부저가 울림
  // 소리가 나지 않도록 즉시 조처
  digitalWrite(BUZZER_PIN,HIGH);
 
  pinMode(DUST_PWR_PIN,OUTPUT);
  digitalWrite(DUST_PWR_PIN,HIGH); // turn the LED off
 
  dht.begin();  
  Serial.begin(9600);
}
 
void loop() {
  // 외부 인터럽트를 먼저 처리한다
  menuVal = btn0.getButton();
  upVal = btn1.getButton();
  downVal = btn2.getButton();
 
  // 메뉴별로 로직을 구분한다
  switch (thisMenu) {
    case MENU_MAIN       : doMain();     break;
    case MENU_SWITCH     : doSwitch();   break;
    case MENU_COUNT_DOWN : doCountDown();break;
    case MENU_TIME       : doTime();     break;
  }
  
}
// ISR에는 파라메터를 지정할 수 없다
//여기서는 세그먼트와 버튼의 update()메쏘드를 지정한다
void ISRupdate() {
  segment.update();
  btn0.update();
  btn1.update();
  btn2.update();
}
 
void doMain() {
  // 세그먼트에 표시할 값은 변경된 경우에만 write()한다
  // 만약 쉼없이 표시하면 숫자가 깜빡거린다
  // 이경우 loop()안에 약간의 delay를(예30) 주면 깜빡거림이 없어진다.
  if(prevMenu!= thisMenu) {
    segment.write(menuTitle[MENU_MAIN]);
    delay(1000);
    prevMenu= thisMenu;
  }
 
  if (nextMenu())
   return;
  thisMil = millis();
  if (thisMil < nextSecMil)
    return;
  else
   nextSecMil = thisMil + 1000;
    
  loopCnt++;
  if (loopCnt > 11 )
    loopCnt = 0;
 
  if (loopCnt == 0) {
   segment.clear();
   delay(100);
    Timer1.stop();
    
    for (int i = 0; i < 100; i++) {
    
      digitalWrite(DUST_PWR_PIN,LOW); // power on the LED
      delayMicroseconds(samplingMicroSec);
      dustVal = analogRead(DUST_PIN); // read the dust value via pin 5 on the sensor
      delayMicroseconds(deltaMicroSec);
      digitalWrite(DUST_PWR_PIN,HIGH); // turn the LED off
      delayMicroseconds(sleepMicroSec);
      smoothDustVal = dustVal * 0.005 + smoothDustVal * 0.995;
      
    }  
  
    calcVoltage = smoothDustVal * (5.0/1023.0);
    //dustDensity = 0.17*(dustVal*0.0049)-0.1;
    dustDensity = 0.17 * calcVoltage - 0.1;
 
    Timer1.resume();
    Serial.print(" d ");
    Serial.println((int)(dustDensity*1000));
    Timer1.resume();
  }
  else if (loopCnt == 4 ) {
   temperature = dht.readTemperature();
    humidity = dht.readHumidity();
    if (isnan(temperature) || isnan(humidity)) {
      Serial.println(" e 1");
      //Serial.println("Failed to read from DHT sensor!");
      temperature = 0;
      humidity = 0;
    }
    Serial.print(" t ");
    Serial.println(temperature,1);
    Serial.print(" h ");
    Serial.println(humidity,0);  
  }
 
  if (loopCnt == 0 ) {
    segment.setWindow(0,3);
    segment.write((int)(dustDensity*1000));
    segment.setWindow(3,1);
    segment.write("u");
  }
  else if (loopCnt == 4 ) {
    segment.setWindow(0,3);
    segment.write(temperature,1);
    segment.setWindow(3,1);
    segment.write("c");    
  }
  else if (loopCnt == 8 ) {
    segment.setWindow(0,3);
    segment.write(humidity,0);
    segment.setWindow(3,1);
    segment.write("h");    
  }
 
}
 
void doSwitch() {
  if(prevMenu!= thisMenu) {
    segment.write(menuTitle[MENU_SWITCH]);
    prevMenu= thisMenu;
  }
  nextMenu();
}
void doCountDown() {
  #define MODE_DISPLAY 0
  #define MODE_EDIT 1
  #define MODE_ON_COUNT_DOWN 2
  static byte mode = MODE_DISPLAY;
  static int countDownVal = 0;
  static int prevCountDownVal = 0;
  static int SVcountDownVal = 0;
  static unsigned long nextCountDownMil;
  static unsigned long upDownButtonPressedMil;
  // 처음 들어 올 때
  if (prevMenu != thisMenu) {
   segment.blink(false);
   // 타이틀 표시
   segment.write(menuTitle[MENU_COUNT_DOWN]);  
    prevCountDownVal = countDownVal;
    // 숫자 표시
    delay(1000);
    segment.write(countDownVal);
    prevMenu = thisMenu;
  }
  // 표시 모드
  else if (mode == MODE_DISPLAY) {
    // 다음 메뉴로 이동
    if (menuVal == RELEASED) {
      segment.blink(false);
      nextMenu();
    }
    // 편집 모드 진입,깜빡거림 시작    
    else if (menuVal == LONG_PRESSED) {
      mode = MODE_EDIT;
      //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0으로 바꿔 표시하기 위함
      segment.write(countDownVal);  
      segment.blink(true);
      // 숫자가 변경된 직후에는 깜빡거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지정
      upDownButtonPressedMil = millis();
    }
    // 카운트 다운 모드 진입
    else if ((upVal == RELEASED || downVal == RELEASED) && countDownVal > 0 ) {
      mode = MODE_ON_COUNT_DOWN;
      SVcountDownVal = countDownVal;
      nextCountDownMil = millis() + 1000;
    }
  }
  // 편집 모드
  else if (mode == MODE_EDIT) {
    // 숫자가 변경된 직후에는 깜빡거리지 않게 한다
    if (millis() - upDownButtonPressedMil <  NO_BLINK_MIL )
      segment.blink(false);
    else
      segment.blink(true);
    // 편집 모드 해제,깜빡거림 중지
    if (menuVal == RELEASED) {
      mode = MODE_DISPLAY;
      segment.blink(false);
    }
    // UP
    else if (upVal == RELEASED || upVal == REPEAT) {
      countDownVal +=10;
      // 숫자가 변경된 직후에는 깜빡거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지정
      upDownButtonPressedMil = millis();
    }
    // DOWN  
    else if (downVal == RELEASED || downVal == REPEAT) {
      countDownVal -=10;
      // 숫자가 변경된 직후에는 깜빡거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지정
      upDownButtonPressedMil = millis();    
    }
    if (countDownVal < 0 )
      countDownVal = 0;
    else if (countDownVal > 9999 )
      countDownVal = 9999;
  }  
  // 카운트 다운 모드
  else if (mode == MODE_ON_COUNT_DOWN) {
    // 카운트 다운 중지하고 이전 세팅 값 표시
    if (upVal == RELEASED || downVal == RELEASED) {
      mode = MODE_DISPLAY;
      countDownVal = SVcountDownVal;
    }
    // 1초가 지나면 1씩 다운
    else if (millis() > nextCountDownMil) {
      nextCountDownMil = millis() + 1000;
      countDownVal -= 1;
      
      // 0이 되면 부저 울림
      if (countDownVal == 0) {
        digitalWrite(BUZZER_PIN,LOW);
        delay(500);
        digitalWrite(BUZZER_PIN,HIGH);
      }
      if (countDownVal < -999)  
        countDownVal = -999;
    }
  }
  
  // 값이 바뀌면 다시 표시
  if (prevCountDownVal != countDownVal) {
    prevCountDownVal = countDownVal;
    segment.write(countDownVal);
  }
}
void doTime() {
  int hh,mm,ss;
  if(prevMenu!= thisMenu) {
    segment.write(menuTitle[MENU_TIME]);
    delay(1000);
    prevMenu= thisMenu;
  }
 
  if (nextMenu())
   return;
 
  thisMil = millis();
  if (thisMil < nextSecMil)
    return;
  else
   nextSecMil = thisMil + 1000;
    
  t.getTime(&hh,&mm,&ss);
  float HHMM = hh + (float)mm / 100.0;
  segment.write(HHMM,2,'0');
  // '00.00'
  //if (hh == 0 && mm == 0)
  // segment.writePattern(1, segment.SEG_A | segment.SEG_B | segment.SEG_C |
  //                     segment.SEG_D | segment.SEG_E | segment.SEG_F | segment.SEG_DP);
  segment.blinkDot(true);
}
bool nextMenu() {
  bool returnVal;
  if (menuVal == RELEASED) {
    prevMenu = thisMenu;
    thisMenu++;
    if (thisMenu >= NO_OF_MENU)
    thisMenu = 0;
    returnVal = true;
    segment.clear();    
  }
  else {
    returnVal = false;
  }
 
  return returnVal;
}
▲모두 닫기  |  {끝:미세 먼지 센서/온습도 센서 읽는 스케치}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사물인터넷, 아두이노, 아두이노강좌, 정보기술

[아두이노007] 아두이노 메뉴 구성법

2018년 1월 25일 | {산구루}작성 | Leave a Comment |

이글은 2018.1.25에 있었던 오프라인 강의 노트입니다. 7세그먼트와 버튼 동시 사용하기 7세그먼트와 버튼 동시 사용하기 다음 스케치에서는 버튼 조작 상태를 7세그먼트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define LATCH_PIN 4
#define CLK_PIN 7
#define DATA_PIN 8
 
#include <TimerOne.h>
 
#include <SanguruSegment.h>
SanguruSegment segment;
#include <SanguruButton.h>
SanguruButton btn0(A1);
SanguruButton btn1(A2);
SanguruButton btn2(A3);
// 오브젝트를 포인터 배열로 선언하고 있다.
// 클래스 *배열명[]; 형식으로 지정하고, &오브젝트 형식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면 된다
SanguruButton *btnP[3] = {&btn0,&btn1,&btn2};
// btnx.getButton()값
#define ON_RELEASED 1
#define ON_PRESSED 2
#define RELEASED 4
#define PRESSED 8
#define REPEAT 16
#define LONG_PRESSED 32
byte prevBtnVal[3];
byte btnVal[3];
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Timer1.initialize(1000);
  Timer1.attachInterrupt(ISRupdate);
  byte digitStartFrom = LOW;
  segment.init(LATCH_PIN,CLK_PIN,DATA_PIN,digitStartFrom,1000);
 
  Serial.begin(9600);
  printHelp();
}
void loop() {
  // put your main code here, to run repeatedly:
  for (int i = 0; i <3; i++) {
    // 오브젝트 포인터를 이용해서 오브젝트를 이용할 때는 .이 아니라 ->를 이용한다
    btnVal[i] = btnP[i]->getButton();
    if (prevBtnVal[i] != btnVal[i]) {
      dispBtnOpertion(btnVal[i]);
      prevBtnVal[i] = btnVal[i];
    }
  }
  if (Serial.available()) {
    serialReadAndSetOption();    
  }
 
}
void ISRupdate() {
  segment.update();
  btn0.update();
  btn1.update();
  btn2.update();
}
 
void dispBtnOpertion(byte btnVal) {
 
  switch(btnVal) {
    case ON_RELEASED : printAndDisplay("onReleased","onre");break;
    case ON_PRESSED  : printAndDisplay("onPressed","onPR");break;
    case RELEASED    : printAndDisplay("released","rele");break;
    case PRESSED     : printAndDisplay("pressed","pres");break;
    case REPEAT      : printAndDisplay("repeat","repe");break;
    case LONG_PRESSED: printAndDisplay("longPressed","long");break;
    defualt          : printAndDisplay("button error","erro");break;
  }
 
}
 
void printAndDisplay(char *printStr, char *displayStr) {
 
  Serial.println(printStr);
  segment.write(displayStr);
  delay(1000);
 
}
 
void printHelp() {
  Serial.println("***commad list");
  Serial.println("r 1/0 setRepeat(true/false)");
  Serial.println("l 1/0 longPress(true/false)");
  Serial.println();
  Serial.println("*** button operations");
  Serial.println("onReleased");
  Serial.println("onPressed");
  Serial.println("released");
  Serial.println("pressed");
  Serial.println("repeat");
  Serial.println("longPressed");
  Serial.println();
}
 
void serialReadAndSetOption() {
 
  char c = Serial.read();
  if (c == 'r') {
    int val = Serial.parseInt();
    if (val == 1){
      btn0.setRepeat(true);
      Serial.println("*** setRepeat(true)");
    }
    else {
      btn0.setRepeat(false);
      Serial.println("*** setRepeat(false)");
    }
  }
  else if (c == 'l') {
    int val = Serial.parseInt();
    if (val == 1){
      btn0.setLongPress(true);
      Serial.println("*** setLongPress(true)");
    }
    else {
      btn0.setLongPress(false);
      Serial.println("*** setLongPress(false)");
    }
  }
  else if (c == 'h') {
    printHelp();
  }
 
}
▲모두 닫기  |  {끝:7세그먼트와 버튼 동시 사용하기} 버튼과 메뉴(카운트 다운 세팅) 버튼과 메뉴(카운트 다운 세팅) 카운트 다운 메뉴에서 메뉴 버튼을 길게 눌러 카운트 다운 값을 세팅하는 스케치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define LATCH_PIN 4
#define CLK_PIN 7
#define DATA_PIN 8
#define BUZZER_PIN 3
#include <TimerOne.h>
#include <SanguruSegment.h>
SanguruSegment segment;
#include <SanguruButton.h>
SanguruButton btn0(A1);
SanguruButton btn1(A2);
SanguruButton btn2(A3);
// btnx.getButton()값
#define ON_RELEASED 1
#define ON_PRESSED 2
#define RELEASED 4
#define PRESSED 8
#define REPEAT 16
#define LONG_PRESSED 32
#define NO_OF_MENU 4
#define MENU_MAIN 0
#define MENU_SWITCH 1
#define MENU_COUNT_DOWN 2
#define MENU_TIME 3
// 숫자가 변경된 후 이 시간 이내에는 깜빡거리지 않는다
#define NO_BLINK_MIL 1000
char *menuTitle[NO_OF_MENU] = {"main","swch","cntd","time"};
byte thisMenu = 0;
// 메인메뉴 타이틀 표시하기 위하여(thisMenu != prevMenu) 0이 아니라 -1로 지정
byte prevMenu = -1;
byte menuVal,upVal,downVal;
void setup() {
  // 값은 250~1000 사이가 적당함
  int intervalMicroSec = 1000;
  Timer1.initialize(intervalMicroSec);
  // 백그라운드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할 ISR을 지정한다.
  // ISR에는 세그먼트와 버튼 등의 update()메쏘드를 지정하면 된다.
  Timer1.attachInterrupt(ISRupdate);
  // 숫자 표시가 역순이면 LOW와 HIGH를 서로 바꾸면 된다  
  byte digitStartFrom = LOW;
  segment.init(LATCH_PIN,CLK_PIN,DATA_PIN,digitStartFrom,intervalMicroSec);
  // setLongPress(true)와 setRepeat(true)는 둘중 하나만 지정이 유효함
  btn0.setLongPress(true);  // menu
  btn1.setRepeat(true);   // up
  btn2.setRepeat(true);   // down
  
  pinMode(BUZZER_PIN,OUTPUT);
  // PNP트란지스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LOW일 때 전류가 흘러 부저가 울림
  // 소리가 나지 않도록 즉시 조처
  digitalWrite(BUZZER_PIN,HIGH);
  Serial.begin(9600);
}
void loop() {
  // 외부 인터럽트를 먼저 처리한다
  menuVal = btn0.getButton();
  upVal = btn1.getButton();
  downVal = btn2.getButton();
  // 메뉴별로 로직을 구분한다
  switch (thisMenu) {
    case MENU_MAIN       : doMain();     break;
    case MENU_SWITCH     : doSwitch();   break;
    case MENU_COUNT_DOWN : doCountDown();break;
    case MENU_TIME       : doTime();     break;
  }
  
}
// ISR에는 파라메터를 지정할 수 없다
//여기서는 세그먼트와 버튼의 update()메쏘드를 지정한다
void ISRupdate() {
  segment.update();
  btn0.update();
  btn1.update();
  btn2.update();
}
void doMain() {
  // 세그먼트에 표시할 값은 변경된 경우에만 write()한다
  // 만약 쉼없이 표시하면 숫자가 깜빡거린다
  // 이경우 loop()안에 약간의 delay를(예30) 주면 깜빡거림이 없어진다.
  if(prevMenu!= thisMenu) {
    segment.write(menuTitle[MENU_MAIN]);
    prevMenu= thisMenu;
  }
  nextMenu();
}
void doSwitch() {
  if(prevMenu!= thisMenu) {
    segment.write(menuTitle[MENU_SWITCH]);
    prevMenu= thisMenu;
  }
  nextMenu();
}
void doCountDown() {
  #define MODE_DISPLAY 0
  #define MODE_EDIT 1
  #define MODE_ON_COUNT_DOWN 2
  static byte mode = MODE_DISPLAY;
  static int countDownVal = 0;
  static int prevCountDownVal = 0;
  static int SVcountDownVal = 0;
  static unsigned long nextCountDownMil;
  static unsigned long upDownButtonPressedMil;
  // 처음 들어 올 때
  if (prevMenu != thisMenu) {
    segment.blink(false);
    prevCountDownVal = countDownVal;
    // 숫자 표시
    if (countDownVal > 0 ) {
     segment.write(countDownVal);
    }
    // 타이틀 표시
    else {
      segment.write(menuTitle[MENU_COUNT_DOWN]);
    }
    prevMenu = thisMenu;
  }
  // 표시 모드
  else if (mode == MODE_DISPLAY) {
    // 다음 메뉴로 이동
    if (menuVal == RELEASED) {
      segment.blink(false);
      nextMenu();
    }
    // 편집 모드 진입,깜빡거림 시작    
    else if (menuVal == LONG_PRESSED) {
      mode = MODE_EDIT;
      //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0으로 바꿔 표시하기 위함
      segment.write(countDownVal);  
      segment.blink(true);
      // 숫자가 변경된 직후에는 깜빡거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지정
      upDownButtonPressedMil = millis();
    }
    // 카운트 다운 모드 진입
    else if ((upVal == RELEASED || downVal == RELEASED) && countDownVal > 0 ) {
      mode = MODE_ON_COUNT_DOWN;
      SVcountDownVal = countDownVal;
      nextCountDownMil = millis() + 1000;
    }
  }
  // 편집 모드
  else if (mode == MODE_EDIT) {
    // 숫자가 변경된 직후에는 깜빡거리지 않게 한다
    if (millis() - upDownButtonPressedMil <  NO_BLINK_MIL )
      segment.blink(false);
    else
      segment.blink(true);
    // 편집 모드 해제,깜빡거림 중지
    if (menuVal == RELEASED) {
      mode = MODE_DISPLAY;
      segment.blink(false);
    }
    // UP
    else if (upVal == RELEASED || upVal == REPEAT) {
      countDownVal +=10;
      // 숫자가 변경된 직후에는 깜빡거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지정
      upDownButtonPressedMil = millis();
    }
    // DOWN  
    else if (downVal == RELEASED || downVal == REPEAT) {
      countDownVal -=10;
      // 숫자가 변경된 직후에는 깜빡거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지정
      upDownButtonPressedMil = millis();    
    }
    if (countDownVal < 0 )
      countDownVal = 0;
    else if (countDownVal > 9999 )
      countDownVal = 9999;
  }  
  // 카운트 다운 모드
  else if (mode == MODE_ON_COUNT_DOWN) {
    // 카운트 다운 중지하고 이전 세팅 값 표시
    if (upVal == RELEASED || downVal == RELEASED) {
      mode = MODE_DISPLAY;
      countDownVal = SVcountDownVal;
    }
    // 1초가 지나면 1씩 다운
    else if (millis() > nextCountDownMil) {
      nextCountDownMil = millis() + 1000;
      countDownVal -= 1;
      
      // 0이 되면 부저 울림
      if (countDownVal == 0) {
        digitalWrite(BUZZER_PIN,LOW);
        delay(500);
        digitalWrite(BUZZER_PIN,HIGH);
      }
      if (countDownVal < -999)  
        countDownVal = -999;
    }
  }
  
  // 값이 바뀌면 다시 표시
  if (prevCountDownVal != countDownVal) {
    prevCountDownVal = countDownVal;
    segment.write(countDownVal);
  }
}
void doTime() {
  if(prevMenu!= thisMenu) {
    segment.write(menuTitle[MENU_TIME]);
    prevMenu= thisMenu;
  }
  nextMenu();
}
void nextMenu() {
  if (menuVal == RELEASED) {
   prevMenu = thisMenu;
    thisMenu++;
    if (thisMenu >= NO_OF_MENU)
    thisMenu = 0;
  }
}
▲모두 닫기  |  {끝:버튼과 메뉴(카운트 다운 세팅)}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사물인터넷, 아두이노, 아두이노강좌, 정보기술

[아두이노006] 아두이노 버튼 사용법

2018년 1월 18일 | {산구루}작성 | Leave a Comment |

버튼 수행결과이글은 2018.1.18에 있었던 오프라인 강의 노트입니다. 아두이노 다기능 쉴드에 대하여 아두이노 다기능 쉴드에 대하여 아두이노 다기능 쉴드는 4자리 7세그먼트 튜브, 세 개의 버튼, 4 개의 LED, 액티브 부저, 포텐시오미터와 연결 단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두 닫기  |  {끝:아두이노 다기능 쉴드에 대하여} PULL_UP 저항에 대하여 PULL_UP 저항에 대하여 스위치를 연결할 때 핀과 5V 사이에 10K 정도의 저항을 연결하는 경우가 [...]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사물인터넷, 아두이노, 아두이노강좌, 정보기술

[아두이노005] 7세그먼트 74HC595 튜브 사용법

2018년 1월 11일 | {산구루}작성 | Leave a Comment |

74HC595와7세그먼트이글은 2018.1.11에 있었던 오프라인 강의 노트입니다. 아두이노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출력 장치는 7세그먼트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입니다. LED를 사용하는 방법과 핀을 확장하기 위한 MUX (multiplexer)의 한 종류인 74HC595 사용법을 알아봅시다. 다이오드에 대하여 다이오드에 대하여 다이오드(diode)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그중에서 전류를 흘리면 빛을 발하는 다이오드를 LED (발광 다이오드, Light Editting Diode)라고 합니다. 다이오드는 극성이 [...]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사물인터넷, 아두이노, 아두이노강좌, 정보기술

[아두이노004] 아두이노 프로그램 논리 구성하는 법

2018년 1월 3일 | {산구루}작성 | Leave a Comment |

이글은 2018.1.4에 있었던 오프라인 강의 노트입니다. 아두이노는 물질 세계와 연결된 센서와 입출력 장치를 다루는 일을 합니다.다양한 상황에 적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논리를 구성해야 합니다. 다음 프로그램의 문제는? 다음 프로그램의 문제는? 아두이노 13번핀에 led가 달려있고,Serial을 통해서 led가 깜빡거려야할 시간을 입력 받는 스케치입니다. 예를 들어 시리얼 모니터에 "s 10"을 입력하면 10초 동안 깜빡거리게 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const int ledPin = 13;
char c;
int sec = 0;
bool ledOn = false;
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Serial.begin(9600);
  pinMode(ledPin,OUTPUT);
}
 
void loop() {
  // put your main code here, to run repeatedly:
  if(Serial.available()) {
    c = Serial.read();
    if (c=='s') {
      sec = Serial.parseInt();  
      Serial.print("s=");
      Serial.println(sec);    
    }
  }
  if (sec > 0 ) {
    for(int i = 0; i<sec;i++) {
      if (ledOn)
        digitalWrite(ledPin,LOW);
      else
        digitalWrite(ledPin,HIGH);
      delay(1000);
      ledOn = !ledOn;            
    }  
    sec = 0;
    Serial.println("blink end");
  }
}
위 [...]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사물인터넷, 아두이노, 아두이노강좌, 정보기술

[아두이노003] 아두이노 C 프로그램 변수 개념 정리

2017년 12월 15일 | {산구루}작성 | Leave a Comment |

3핀제어시리얼모니터이글은 2017.12.21에 있었던 오프라인 강의 노트입니다. 아두이노 C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주요 변수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정수형,실수형,문자와 문자열 변수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1초 동안에 loop()은 몇번이나 수행될까? 1초 동안에 loop()은 몇번이나 수행될까? 아두이노 스케치를 구동하면 먼저 setup()함수가 한번 수행된 후 loop()함수는 무한 반복합니다.다음은 1초 동안에 loop()함수가 몇번이나 수행되는지 세어 보는 스케치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Serial.begin(9600);
}
void loop() {
  // put your main code here, to run repeatedly:
  static unsigned long nextMil;
  static unsigned long loopCount = 0;
  static bool isFirstLoop = true;
  if (isFirstLoop) {
    isFirstLoop = false;
    nextMil = millis() + 1000; // 1초 후    
  }
  
  if (millis() > nextMil) {
    Serial.print("loopCount for a second: ");
    Serial.println(loopCount);  
    while(1) {
    }
  }
  loopCount++;
  
}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초 동안에 24만번 이상 [...]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구글 +1에서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iled Under: 사물인터넷, 아두이노, 아두이노강좌, 정보기술

  • 1
  • 2
  • 3
  • 4
  • Next Page »

Copyright © 2025 · Waytips Theme ·